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투자/기업분석

[기업분석] 2차전지 / 코스닥 / 아모그린텍 / 첨단소재 및 부품 (2탄)

by 딩동동 2022. 12. 22.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등의 사업영역을 가진

아모그린텍
에 대해서 알아보자.

출처 : 아모그린텍 홈페이지

 


2022.12.20 - [재테크&투자/기업분석] - [기업분석] 2차전지 / 코스닥 / 아모그린텍 / 첨단소재 및 부품 (1탄)

 

[기업분석] 2차전지 / 코스닥 / 아모그린텍 / 첨단소재 및 부품 (1탄)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등의 사업영역을 가진 아모그린텍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회사 소개 아모그린텍은 2004년 설립, 2019.03월에 기술특례로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입니다

dding0-0.tistory.com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아모그린텍의 사업을 좀 자세히 들여다보려 합니다.

1. 자성소재란 무엇일까? 

 

먼저 핵심사업인 '자성소재'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자성소재는?

자기(magnetism, 磁氣) 자석과 같은 성질을 띈 물체가 쇠붙이 등을 끌어당기는 성질을 가진 소재입니다.

자성소재는 크게 연자성(Soft magnetism) 소재와 경자성(Hard magnetism) 소재로 나누어집니다.

자성소재는 전자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이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자성소재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유형 성질 사용
연자성 자기장이 발생할 때만 자성을 가졌다가
자기장이 사라지면 다시 손실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경자성 한번 자성을 가지면
사라지지 않음
영구자석으로 사용

저손실 소재를 사용하면 해당 부품의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고, 불필요한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기기의 수명도 늘어나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손실 자성소재를 이용하여 부품설계를 최적화하면

제품의 소형화와 함께 에너지 효율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자성소재는 어디에 쓰이고, 왜 필요한가?

 

현재 자성소재는 자동차, 전자기기,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활과 밀접해 있는 가전제품 이외에 재생에너지스마트 그리드 등의 산업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자성소재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전력 변환 장치에서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 스마트 그리드 (SmartGrid)?

기존 전력망에 + 정보통신기술(ICT)을 더해 전력 생산과 소비 정보를 양방향/실시간으로 주고받음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차세대 전력망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아모그린텍의 주요 제품에는 무엇이 있고, 어떠한 강점이 있으며

주 매출처 현황과 시장 점유율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아모그린텍의 주요 제품

 

(1) 고효율자성소재

아모그린텍은 일본의 Hitachi Metal, 독일의 VAC에 이어서

세계에서 3번째, 국내 최초로 고효율 나노 결정립 합금 설계 기술을 보유한 기업입니다. 

 

아모그린텍의 핵심 사업인 고효율 자성소재는 

*전기자동차용 파워모듈, *스마트그리드를 위한 전력량 측정 전류센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용 인버터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모그린텍은 테슬라를 비롯하여 글로벌 태양광 인버터 시장을 주도하는 Market Share 업체인 SMA에도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다수의 글로벌 전장업체들과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제품명 용도 주 고객사
Powder Core 급격한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고
파워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으로 사용
Tesla, Bourns, Premo
CT
(Current Transformer)
스마트 그리드에 필수적인 Smart Meter에서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센서의 핵심 부품
남전사, 한산에이엠에스테크
오사키전기, 간사이전력
IUSA(GE)
ITRON, ELO, Landisgyr

국내 시장 점유율 50%
일본 시장 점유율 45~50%
멕시코 시장 점유율 90%
브라질 시장 점유율 10%
CMC
(Common Mode Choke)
전기회로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제품 TESLA, RIVIAN, LEAR, 
현대모비스
독일 SMA, Tesla Energy 

 

(2)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전자제품이 소형화되며 복잡해지고 있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연성전자회로기판으로 

작업성이 좋고 내열성 및 내곡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치수변경이 적고 열에 강한 회로기판입니다.

 

제품명 용도 주 고객사
NFC/무선충전 안테나 모듈용
회로기판
IOT 를 위해 주목 받고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기술과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기술을 구현시킨
회로 부품으로서 사용됨
삼성전자 등
스마트폰 제조업체
COF용 박막필름 스마트폰, TV등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칩과 메인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회로

FHD, UHD등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및 
모바일 기기에 적용
Metal Mesh 높은 전도성과 유연성으로 대면적 Flexible Display의 
터치스크린으로 활용되며 우수한 전도 특성으로 
투명차폐, 투명안테나, 투명히터로 확장 가능한 박막 PCB.

 

(3) 방열소재

방열소재는 IC 등 전자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자 기기의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열의 전송경로에서 열이 양호하게 전송되도록 중개하는 역할을 하는 소재입니다.

전기, 전자 기기는 소형화, 경량화, 기능화가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따라 부품의 고집적화와 박형화, 모듈화가 진행되는데

 좁고 작은 단위 면적에 많은 부품이 탑재되거나 고성능 부품이 장착됨에 따라 많은 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열은 전자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어 

열제어 및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제품명 용도 주 고객사
HTF 
(Hybrid Thermal Film)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고집적화 및 초박형화에 
따른 발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방열 또는 단열시켜주는 역할

HTF는 열이 수직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수평 방향으로 열을 Spreading 하도록 설계되어
전자기기 표면의 온도를 저하시켜
전자제품을 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함

아모그린텍 HTF 제품은 Cu+Nano Web 구조로
표면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
-
SCA
(Shield Can Adhesive)
모바일용 AP의 전자파 차폐 기능을 하는 쉴드 캔(Shield Can)에 
나노 차폐 시트를 적용하여 전자파 차폐 성능을 향상시킴

아모그린텍의 SCA 제품은
방열/단열 기능을 겸비한 하이브리드 제품
-
RF 방열시트
(고주파 방열시트)
낮은 유전율*과 고방열 특성을 갖는 소재 -

 

* 여기서 유전율이란 반도체 등 내부에서 외부 전기장에 반응하는 민감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전율이 낮으면 전기적 간섭이 줄어들어

반도체 소자 내 전류가 흐르는 길(금속배선)의 간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즉, 반도체 소자를 더 미세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줄어든 간격만큼 정보처리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점차 전자제품이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맞게 낮은 유전율을 갖는 신소재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4) Nano Membrane 소재 (Vent)

나노 멤브레인은 나노섬유(Nano Fiber)가 3D 네트워크처럼 랜덤 하게 적층된 구조로

부피 대비 높은 표면적을 가진 그물망 구조의 형태를 하고 있는 첨단 소재입니다. 

 

* 나노 섬유 : 지름이 수십 ~ 수백(1nm=10억 분의 1미터)에 불과한 섬유

 

제품명 용도 주 고객사
IPX8 투습, 통음, 방수 특성을 가진 첨단소재부품

IPX8는 완전 방수에 가까운 높은 수준의 방수 성능과
우수한 통음, 통기 성능을 가지고 있어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Speaker, Receiver,
MIC, 충전인입구 등에 방수 및 통음, 통기 등의 용도로 사용. 
모바일 제조업체
자동차 전장 제조업체

 

(5) Flexible Battery

아모그린텍은 플렉서블 배터리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기업입니다.

아직은 전체 매출액에서 0.13% 밖에 되지 않지만, 유연한 형태의 부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향후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품명 용도 주 고객사
Flexible Battery 휘어지거나 구부릴 수 있는 차세대 전지 -
Paper Battery 소형 제품 중에서도 신용카드, 스마트키, 출입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초박형 리튬전지

 

(6) ESS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는 생산된 전기를 저장장치(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는 전력 사용의 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시스템입니다.

 

제품명 용도 주 고객사
FESS 대규모 공장, 빌딩시설 등에서 평시 전력을 저장해 
전력 수요 피크 시 분산 및 절감
덴마크, 일본 통신사
RESS 태양광, 풍력 발전 등의 신재생 에너지원과 결합한 시스템
TESS 통신장비에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

 

AMO ESS 솔루션은 인산철 배터리(LFP)를 적용하여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고온 폭발 안정성, 가스 폭발 안전성이 뛰어나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기존 전원 계통, 신재생에너지, 스마트 팩토리 분야 등에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아모그린텍은 전지 에너지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BMS와 냉각시스템, 고전압 차단기 등 Total Solution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덴마크 글로벌 풍력발전 시스템 기업, 일본 통신사, 전기기관차 관련 등 해외 프로젝트가 시작되며 

ESS사업 부문에서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4. 아모그린텍 기술 지표

 

4차 산업과 연관된 주요 사업들을 영위하고 있는 아모그린텍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경쟁력 순위를 알아보았습니다. 

전체 기술주 상위 3.03%이며, 기술력점수는 421.5점, 기술경쟁력등급은 A+ 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술특례상장을 한 기업답게 보유 기술에 있어서는 확실히 경쟁력이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출처 : 컴퍼니가이드(http://comp.fnguide.com)

 

* 기술지표

퀀트기술평가 : 기술력점수(TSS)를 기준으로 기술력 순위 산출

기술투자매력도 : 기술력점수(TSS)를 기준으로 시가총액 대비 투자매력도 순위 산출

* 기술분석

기술력점수 : 기업이 가진 특허의 규모와 기술 수준을 측정한 점수

특허평가점수 : 각 기술부문별 특허 점수의 평균. 다른 특허들로부터 인용을 많이 당한 특허는 좋은 점수를 받음

 

출처 : 이코노믹데일리/이종철연구원

 

5. 아모그린텍의 주가

 

22년 1월~12월 올 한 해 주가의 흐름입니다. 

큰 방향은 상승세였으나 10~12월 주가는 다소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2.12.16 기준으로 5일 이동평균선과 20일 이동평균선이 교차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과연 20일선을 뚫고 내려갈지.... 반등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출처 : 네이버 금융

 

60일과 120일 중장기 이동평균선은 마치 수평선처럼 보입니다.

이 점이 그닥 긍정적으로 보이진 않지만 주가라는 게 워낙 변수가 많아서.. 예측하기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거래량은 4월을 제외하고는 큰 변동은 없는 것으로 보이나,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최근 한 달 사이에 외국인 보유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6. 기타 (나노 기술 멤브레인에 관한 영상)

 

현재는 아모그린텍의 부사장인 송용설님이 나노 기술 멤브레인에 대해 강연했던 영상입니다.

15분 정도 되는 짧은 영상인데, 아모그린텍의 나노섬유 기술의 개발과정과

현재 나노섬유 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링크를 가져와봤습니다.

해당 기업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D

 

https://www.youtube.com/watch?v=UaDmrvPlFcU

 

5. 결론

 

총 2회에 걸쳐 첨단소재 및 부품을 생산하는 코스닥 기업 "아모그린텍"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Strengths와 Weaknesses를 정리하면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S W
1 핵심 원천기술 확보 (안정적인 기술 경쟁력) 장단기 차입금이 총부채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음
2 주력사업의 다변화 및 다각화
(기존 주력사업인 고효율 자성소재 뿐만 아니라
방열(10%) 나노멤브레인(20%) ESS(21%) 사업부문에서도
매출이 발생 (향후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기술 경쟁력은 있는데
주가는 왜 이럴까요?
3 특허 경영을 통한 지적재산화 (지속적인 연구개발)  
4 글로벌 비즈니스 역량 확보
(일본, 북미, 남미, 유럽 등 글로벌 고객사 확보)
 

 


제 의견은 많은 사람들의 의견 중 하나이고 완전히 틀릴 수도 있으니 항상 참고적으로만 보시고,

투자에 대한 의사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100% 의지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블로그 내용은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