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기초] R 기초 핵심 정리 3탄 (함수)
R 기초 핵심 정리 3탄
- 함수란 특정한 작업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의 집합체이다.
- function은 함수의 정의를 위해 사용하는 R의 내장함수이다.
- 변수의 유효범위에 따라 지역변수, 전역변수, 매개변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전역변수는 어떤 변수의 영역 내에서도 접근할 수 있는 변수이다.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소멸된다.
- 지역변수는 전역변수와는 달리 함수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변수이다. 함수가 종료되면 소멸된다.
- 함수를 생성하는 방법은 콘솔에 직접 입력, fix함수, 외부파일에 저장하여 읽어 들이는 방법이 있다.
- 함수의 편집은 fix( ) 와 edit( ) 함수를 사용하여 수정 및 편집할 수 있다.
- is.function( ) 객체가 함수인지 아닌지 검증하는 함수이다.
- args( ) 함수의 매개변수들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 attributes( ) 함수의 소스코드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함수의 정의
함수(function)란 특정한 작업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의 집합체입니다.
R에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본함수, 통계함수 등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목적에 맞도록 직접 함수를 구현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함수의 구조 및 생성방법
(1) 구조
함수의 일반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function은 함수의 정의를 위해 사용하는 R의 내장함수입니다.
함수 이름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나
R에 내장되어 있는 다른 함수와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함수이름 <- function(매개변수) {함수의 몸체}
(2) 변수의 종류
변수의 유효 범위에 따라 지역변수, 전역변수, 매개변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함수의 생성 방법
R에서 함수를 생성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R콘솔에서 직접 입력하는 방법,
② fix함수를 이용하는 방법,
③ 외부파일에 저장하여 읽어 들이는 방법입니다.
3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함수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R 함수 생성 (콘솔입력)
(예제)
평균이 5이고 표준편차 1.5인 정규분포에서 100개의 샘플을 추출한 뒤
이를 x라는 변수에 저장하고 d.mean 함수를 이용하여 산술평균을 산출하라.
또한 동일한 분포에서 1,000개 , 10,000개의 샘플을 추출한 뒤
산출한 평균과 결과를 비교해 보라.
② R 함수 생성 (fix함수)
R콘솔에서 fix(함수이름) 을 입력하면 R 편집기 창이 열리고
함수를 편집한 후 저장하면 함수가 생성됩니다.
③ R 함수 생성 (외부파일 불러오기)
앞서 작성한 함수를 메모장에 입력한 뒤 텍스트 파일로 저장합니다.
R에서 source( ) 함수를 이용하여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 함수를 생성합니다.
함수의 편집
함수의 편집은
앞서 함수를 생성할 때 사용한 fix( ) 함수를 이용하여 편집 및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edit( ) 함수를 사용하여 편집이 가능합니다.
함수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함수
① is.function( )
객체가 함수인지 아닌지 검증하는 함수입니다.
② args( )
함수의 매개변수들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data 매개변수와 num 매개변수를 갖고 있으며
num 매개변수는 기본값으로 1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③ attributes( )
함수의 소스코드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srcref라는 이름 아래에 저장되어 있던 소스 코드들이 출력됩니다.

나도 할 수 있다 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