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2탄 / 날록손 관련주 / 삼진제약 / 이연제약 / 휴온스
최근 들어 하루가 멀다 하고 마약 범죄 소식이 들리는데요
무서우면서도 참 안타깝고 슬픈 마음이 드는 것 같습니다.
ㅠㅠ
엊그저께는 녹색당의 前 정당 대표였던 김예원씨가
대마 흡연 및 소지로 입건이 되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5131
무섭게 파고드는 마약...정당 대표까지 '대마 흡연·소지' 입건 | 중앙일보
올해 2월 일신상의 사유로 사퇴했다.
www.joongang.co.kr
사실 대마는 전 세계에서 합법화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마약류 중 하나입니다.
많은 나라에서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했고
일부 국가에서는 오락용 대마초도 합법화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2018년 11월 23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대마초의 의료용 사용이 합법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일반 가정에서 대마를 불법 제조하고
유통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정부에서는 강력한 수사를 위해
전담팀을 꾸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https://www.mk.co.kr/news/society/10712059
우리 옆집이 마약공장? 서울 한복판 빌라서 대마 키웠다 - 매일경제
檢, 대마사범 4명 구속기소건조기·환기시설까지 갖춰텔레그램 통해 불법 판매도
www.mk.co.kr
어찌 됐건 현재 국내에서
마약을 불법 소지하거나 투약하는 일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마약중독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다양한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진제약
* 코스피 1988/06/18 상장
* 주요 제품으로 일반의약품으로 소염진통제 '게보린(정제)' 및 식욕촉진제 '트레스탄(캡슐제)' 등이 있음.
* 22년 8월 초 오송공장 증축 완료(EU-GMP급 주사제 라인 구축 및 원료합성공장 생산 능력 증대)
* 법인세 세무조사 관련하여 서울지방국세청으로부터 추징금(벌금) 부과받았으나, 행정소송 진행 예정에 있음
* 매출현황
일반의약품인 소염진통제 '게보린(정제)' & 전문의약품인 항혈전제 '플래리스(정제)' 의 매출 비율 58.71%
고령화 사회를 위협하는 암, 황반변성 및 치매 등 노인성 분야의 질병 치료제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주주현황
- 하나제약이 삼진제약의 지분을 취득하면서 최대주주로 등극
- 아리바이오 : 퇴행성뇌질환(치매)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는 신약개발 바이오 회사
* 재무 및 손익 현황
매출액 상승
22년도 매출 원가 상승 (53→57%)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감소
영업현금흐름(+) : 전년대비 감소
투자현금흐름(-) : 오송 공장 증설로 인해 투자 지출 증가
재무현금흐름(+) : 설비 투자로 인해 차입 증가
기말현금자산 23억 원 (전년대비 약 71% 감소)
부채비율 100 미만으로 양호
22년 영업이익률 8.46%
* 주요 뉴스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08708
삼성家도 주목한 ADC 시장...국내기업, 플랫폼 기술 확보 사활 - 이코노믹리뷰
국내 기업들이 항체·약물접합체(ADC) 기술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ADC는 항체에 암세포를 죽이는 약물을 붙여 다른 세포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암세포만 표적하는 차세대 항암 기술로 주목받
www.econovill.c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33446635474440&mediaCodeNo=257&OutLnkChk=Y
삼진제약, 노벨티노빌리티와 ADC 신약 공동개발 협약
삼진제약-노벨티노빌리티 공동연구 협약식 모습. (왼쪽부터)이수민 삼진제약 센터장, 박상규 노벨티노빌리티 대표이사.(사진=삼진제약)[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삼진제약은 항체 신약 개발 전문
www.edaily.co.kr
이연제약
* 코스피 2010/06/10 상장
* 오리지널의약품은 CT용 조영제 '옵티레이' 등이 주력 제품이며, ISK[이미징솔루션코리아, (구)말린크로트코리아]와 국내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판매하고 있음. 원료의약품 주력 제품으로는 스트렙토키나제ㆍ스트렙토도르나제(이하"SKD"라 함), 아르베카신황산염(이하 "ABK"라 함) 및 테이코플라닌 등이 있음
* 이연제약 20~21년 시장점유율 0.3%
* 이연제약이 개발한 아르베카신황산염은 일본 Meiji사가 최초로 개발한 후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한 것으로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제품.
(2011년 인도와 중국 독점 공급 체결 / 총 약 870억 원 규모)
* 주주현황
유용환 외 3인 52.29%
* 재무 및 손익 현황
매출액 상승
22년도 매출 원가 상승 (44→47%)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증가 (관계기업 투자주식 가치평가로 인한 이익 증가)
영업현금흐름(+) : 전년대비 감소
투자현금흐름(-)
재무현금흐름(-) : 장기차입금 상환, 배당금 지급
기말현금자산 161억 원
부채비율 100 미만
22년 영업이익률 3.61% (3개년 평균 영업이익률 2.24%)
* 주요 뉴스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4118841i
이연제약, 테라베스트와 NK세포 치료제 공동개발 계약
이연제약, 테라베스트와 NK세포 치료제 공동개발 계약, pDNA 독점 공급 및 수익 공유권 확보
www.hankyung.com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896363
유리조각 혼입 이연제약 근이완제 '베카론주' 회수
이연제약이 유리조각이 혼입된 근이완제 '베카론주(성분명 베쿠로늄브롬화물)' 회수에 나선다. 또한 LG화학 골관절염 치료제인 '시노비안주' 일부 품목도 회수 및 폐기된다. 식품의
www.dailymedi.com
휴온스
* 코스닥 2016/06/03 상장
* 국소마취제, 점안제, 개량신약 및 제네릭 의약품 판매.
주요 제품으로는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국내 최초 여성 갱년기 유산균 '메노락토 프로바이오틱스'
연속혈당측정기 'Dexcom G6', 고용량 비타민 주사제 및 건강기능식품 '메리트 시리즈' 등이 있음.
* 2022년 1월 종합 건강기능식품 기업 (주)휴온스푸디언스 출범
* 매출현황
전문의약품(43%) > 뷰티웰빙(36%) > 수탁생산(13%)
* 주주현황
(주)휴온스글로벌 40.89%
FMR LLC 9.99%
* 재무 및 손익현황
매출액 상승
22년도 매출 원가 상승 (43→46%)
영업이익/당기순이익 감소
영업현금흐름(+) : 전년대비 감소
투자현금흐름(-) : 유동성금융자산 증가
재무현금흐름(+) : 장기차입금 증가
기말현금자산 307억 원
부채비율 100 미만
22년 영업이익률 8.58% (지속적으로 감소)
* 주요 뉴스
https://www.fetv.co.kr/news/article.html?no=137629
휴온스, R&D센터 투자 아끼지 않는 까닭은?
[FETV=박제성 기자] 휴온스가 과천 R&D센터 건설에 열을 올리고 있다. R&D센터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통해 캐시카우를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휴온스는
www.fetv.co.kr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33010062154311
지분 늘리고 투자목적 바꾸고…팬젠 영향력 키우는 휴온스, 이유는 - 머니투데이
연초 크리스탈지노믹스로 최대주주 변경지분 보유목적 '일반투자'→'경영권 영향'"전략적 투자자로 지속적 파트너십 구축"휴온스가 바이오 상장사 '팬젠...
news.mt.co.kr
* 주가 (2016~2023년)
시가총액 : 휴온스 > 이연제약 > 삼진제약
원가비중 : 삼진제약 > 이연약품 > 휴온스
연구개발비율 : 삼진제약 > 휴온스 > 이연제약
영업이익률 : 휴온스 > 삼진제약 > 이연제약
제 의견은 많은 사람들의 의견 중 하나이고 완전히 틀릴 수도 있으니 항상 참고적으로만 보시고,
투자에 대한 의사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100% 의지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블로그 내용은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의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